신종 코로나 - '제주'도 이젠 안전하지 않다.
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이야기/제주 풍속, 문화, 생활, 여행

신종 코로나 - '제주'도 이젠 안전하지 않다.

by 제주 알리미 2020. 2. 23.
728x90

 

우려가 현실이 됐다.

코로나 19 사태 이후 '확진자 제로' 청정 지역을 유지하던 제주도민의 노력이 허무하게 끝을 맺었다.

20일 군부대 휴가를 다녀와 입도한 남성이 양성반응자로 확인되고

22일 서귀포에서도 대구를 다녀온 22세 여성이 코로나 19 양성반응자로 판정을 받으면서

제주 사회는 발칵 뒤집어졌다.

최초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불과 하루도 지나지 않아 두 번째 양성 판정자가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은 비상이 걸리고 지역주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 19 양성 반응자가 대중교통, 서귀포이마트, 병원, 편의점 등을 이용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도민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마치 태풍 경보가 내려진 듯 도시 자체도 꽁꽁 얼어붙었다.

 

확진자가 다녀간 내과병원, 편의점은 모두 문이 굳게 닫혔고,

입구에는 급하게 써내린 듯한 임시휴업을 알리는 안내문만 부착돼 있다.

확진자가 이용한 버스와 택시는 운행이 중단됐고, 그들이 다녀간 마트와 병원도 모두 임시 폐쇄됐다.

운전사와 병원 직원 등은 자가 격리됐고, 버스에 함께 탑승했던 승객들은 확인 중에 있다고 한다.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에서 처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21일 담화문을 발표하고 제주도를 비상상태를 선포하고, 사태 극복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 "고 밝혔다.


그동안 제주는 코로나 19 확진자가 없는 청정지역임을 내세우며 관광시장 회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이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항공과 숙박예약 취소가 잇따르고 관광객들은 남아있던 예약마저 취소하고 돌아갈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가 코로나 청정지역이고, 중국관광객의 발길이 끊긴 점 등이 알려지며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조금씩 늘고 있던 참이었다.

코로나 예방 수칙

 

행사 취소나 연기 공지를 알리는 안내문이 게시판마다 붙어있다.

전쟁이 난 것도 아닌데 식료품 사재기를 하는 사람들도 늘어간다.

근거 없는 '가짜뉴스'까지 지역사회에 번지는 등 홍역을 앓고 있다.

코로나 19의 증상은

발열,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이라고 한다.

코로나 19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꼭 협조해야할 사항은

가벼운 증상이더라도 병원 먼저 가지 말고 꼭 전화로 먼저 상담을 받으라고 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외출 시 마스크 착용과 철저히 손 씻기 등의 개인수칙을 지키는 것밖에 할 수 없다는 사실이 슬프다.

반응형

댓글